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질산화·탈질화 반응을 이용한 질소 제거 실험

by 율무화학 2025. 4. 23.
반응형

목차

    질소는 자연 생태계에서 필수적인 영양소이지만, 농업 폐수, 생활하수, 산업 폐수에 과도하게 포함될 경우 수질 오염과 부영양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생물학적 처리 방법으로 질산화(Nitrification)와 탈질화(Denitrification) 반응이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질소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처리의 원리, 실험 방법, 장비 구성, 데이터 해석까지 상세히 소개합니다.

    질산화·탈질화 반응을 이용한 질소 제거 실험


    1. 질산화·탈질화 반응이란?

    질산화 반응은 암모니아성 질소(NH₄⁺)가 산화되어 아질산(NO₂⁻)과 질산(NO₃⁻)으로 전환되는 과정이며, 탈질화 반응은 이러한 질산화 질소가 질소 가스(N₂)로 환원되어 대기로 방출되는 과정을 말합니다. 두 반응은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며, 총질소(T-N) 제거를 위해 연계 운용됩니다.

     

    2. 질소 제거 실험의 목적

    • 질산화 및 탈질화 반응의 이해
    • 미생물 활성에 따른 질소 제거 효율 확인
    • 운영 조건(산소, pH, 탄소원 등)에 따른 반응 차이 분석

     

    3. 실험 장비 및 재료

    • 반응조 또는 실험용 배치 탱크
    • 에어 펌프 및 산소 공급 장치
    • 교반기, pH 측정기, DO 측정기
    • 암모니아, 아질산, 질산 측정 키트
    • 미생물 슬러지(활성 슬러지)
    • 탄소원(예: 메탄올, 아세테이트 등)

     

    4. 실험 절차

    1단계: 질산화 반응 (호기 조건)

    1. 활성 슬러지를 포함한 반응조에 암모니아성 질소를 포함한 폐수 주입
    2. 산소 공급 및 교반 시작 (DO 2~3 mg/L 유지)
    3. 정해진 시간 간격(예: 0, 2, 4, 6시간)으로 시료 채취
    4. NH₄⁺, NO₂⁻, NO₃⁻ 농도 측정

    2단계: 탈질화 반응 (혐기 조건)

    1. 질산화 완료 후 반응조를 혐기 조건으로 전환 (공기 차단)
    2. 외부 탄소원 투입 (메탄올, 글루코스 등)
    3.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시료 채취 및 NO₃⁻, NO₂⁻ 농도 측정
    4. 질소 가스 발생 여부 관찰

     

    5. 실험 결과 해석

    • 질산화 반응: NH₄⁺ 감소, NO₂⁻ 및 NO₃⁻ 증가
    • 탈질화 반응: NO₃⁻ 감소, NO₂⁻ 일시적 증가 후 감소 → N₂ 전환
    • 총질소 제거율: 초기 T-N과 최종 T-N 비교

     

    6.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 용존산소(DO): 질산화에는 충분한 산소, 탈질화에는 무산소 조건 필수
    • pH: 최적 범위는 6.5~8.0
    • 탄소원: 탈질화에는 외부 탄소원이 반응 속도를 결정
    • 온도: 일반적으로 20~35℃ 사이에서 활성이 높음

     

    7. 질산화·탈질화의 환경적 중요성

    이 반응들은 하수 및 폐수처리 공정뿐 아니라, 축산 폐수, 비료 유출에 따른 수계 부영양화 방지에도 필수적입니다. 질소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조류 번식, 수생 생물 감소, 수질 악화 등의 심각한 환경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8. 응용 분야

    • 하수처리장 질소 제거 공정 최적화
    • 농업용 배수 수질 개선
    • 축산 폐수 및 유기성 폐수 처리
    • 연속식 및 SBR 시스템 내 질소 모니터링

    질산화·탈질화 반응을 활용한 질소 제거는 생물학적 수질 처리의 핵심 기술 중 하나입니다. 실험을 통해 반응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조건별 변화를 관찰하면 실제 환경 적용 시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합니다.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물 환경 관리를 위해 이와 같은 실험적 접근은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