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화학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의 최신 개정사항과 그 의미

by 율무화학 2025. 5. 2.
반응형

목차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은 국내 수질 분석의 표준을 정립하여 환경오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자 마련된 기준입니다. 최근 국립환경과학원은 현장 적용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해당 기준을 일부 개정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신 개정사항과 그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개정 배경

    이번 개정은 수질 분석 현장의 변화와 사용자 중심의 시험법을 반영하고자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기존 시험방법의 미비점을 개선하고 최신 분석 기술 및 동향을 적용하여 실무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2. 주요 개정사항

    • 총유기탄소(TOC) 상대정확도 적합기준 개정: 주시험법의 15% 이하로 설정하되, 측정값이 해당 배출기준의 50% 미만인 경우에는 배출기준법의 15% 이하, 또한 주시험방법에 의한 측정값이 최소배출기준한계(2mg/L) 이하일 경우 30% 이하로 조정되었습니다.
    • 시료 채취 및 보존 방법 개정: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즉시"라는 표현을 "가능한 한 빨리"로 수정하여 시료 처리의 유연성을 확보하였습니다.
    • 유통금지 시약 사용 전처리 방법 삭제: 사염화탄소 등 유통이 금지된 시약을 사용하는 전처리 방법이 삭제되어 안전성과 환경 보호를 강화하였습니다.
    • 정도관리 항목 강화: 일반항목의 정도관리 내용이 강화되었으며,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도, 정확도 등의 내용이 추가되었습니다.

     

    3. 개정의 의미

    이번 개정은 수질 분석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특히, TOC 측정의 상대정확도 기준이 명확해짐으로써 분석 결과의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시료 처리 과정의 유연성 확보와 유해 시약의 사용 제한은 실무자의 안전과 환경 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향후 전망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은 지속적으로 개정되어야 하며, 현장 적용성과 최신 기술 동향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질 분석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